2023 법무사 8월호

체-는 자신이 어떤 마음을 가지고 있느냐에 대한 추론 을 근거로 자기의 내용을 구성해간다. 바로 그렇기 때문에 한국인에게는 대인관계나 사회적 맥락에서 상대의 언행을 해석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. 마음은 볼 수도, 만질 수도 없다. 이는 상 대는 물론 당사자에게도 마찬가지다. 따라서 외부로 드 러난 행위와 그 행위가 나타난 정황 등으로 자신과 상 대의 마음을 추론하는 도식이 발달하게 된 것이다. ‘체면’과 ‘눈치’는 한국인이 자신을 드러내고 상대 의 마음을 읽는 대표적인 문화적 행위 양식이다. 심정(心情), 자신과 상대의 마음을 해석하는 데 사용되는 단서 그러나 이러한 도식으로 사회적 맥락의 모든 행 위의 저변에 있는 마음을 추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. 따라서 마음을 해석하는 데에는 사안과 상황에 따라 스스로 추론(주관적 해석)하는 과정이 중요하다. 이때 자신과 상대의 마음을 해석하는 데 사용되 는 단서가 ‘심정(心情)’이다. 심정은 ‘心’과 ‘情’의 합성어로서 ‘마음의 정황’, ‘마 음이 일어난 상태와 상황’(신국어대사전)을 말한다. 원 래 그러한 마음의 상태가 아니라 사건에 의해 발동되어 비로소 감지된 마음을 표현하는 용어다. 문화심리학자 최상진은 이 심정을 한국인 심리를 설명하는 중요 개념 으로 선정하여 그 용례와 기능을 분석하였다. 일상의 언어생활뿐만 아니라 한국의 방송이나 언 론매체에는 심정이란 말이 빈번하게 등장한다(예, 자 식 같던 배추 갈아엎은 농민의 심정, 시험 치는 학생 의 심정, 죄인 된 심정, 자식 먼저 보낸 엄마 심정 등등). 일상언어의 경우는 물론이고 객관적 사실을 전달해야 하는 언론의 기사에도 심정이라는 표현이 나타난다는 것은, 심정이 그만큼 한국인의 심리 경험에서 많은 부 분을 차지한다는 방증일 것이다. 심정이란 표현은 다른 이들의 마음을 공감하는, 혹은 내 마음을 상대방에게 공감시키려는 맥락에서 주로 사용된다(예, 물러날 곳 없는 벼랑 끝에 선 심정,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). 표현된 어떤 이의 심정을 통 해 내가 직접 다른 이의 마음을 경험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. 한국에서, 심정과 관련된 표현은 보통 합리적 사 고나 이성적 판단이 요구되는 상황보다는 가까운 사람 사이와 같은 사적 관계에서 통용되는 것이 보통이다. 그럼에도 사적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언론 및 정치 인 등 공적 발언에서조차 심정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 다는 것은 한국인들이 표상하는 사회적 관계가 상당 히 ‘사적’인 사이임을 시사한다(실제로 한국인들은 타 인과의 관계를 확장된 가족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 다. 6월호 주제). 심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심정에는 자의식이 전 제되어 있다는 것이다. 심정을 경험하는 사람은 자신 의 마음속에서 일어난 일을 감지하고 그것을 표현한 다. 즉, 심정이란 나의 마음이 주관적으로 재해석한 마 음인 것이다. 그것은 상대의 마음일 수도 있고, 나의 마 음일 수도 있다. 중요한 것은 그것이 ‘나에 의해서’, ‘나 의 관점에서’ 재해석된 것이라는 점이다. 타인의 경험을 동시에 경험하는 ‘공경험’이 습관화된 한국인 70

RkJQdWJsaXNoZXIy ODExNjY=